맨위로가기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신약성경에 언급된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작은 야고보, 예수의 형제 야고보와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마태오와의 형제 관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성경에서는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지만, 전승에 따르면 그는 엄격한 수양 생활을 했으며, 예루살렘 교회의 초대 주교로 활동하며 미사 예식을 제정했다. 그는 바리사이 파에 의해 순교했으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9일과 6월 30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사도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성인 축일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성인 축일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세기 기독교 순교자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세기 기독교 순교자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야고보 (소) - 페터 파울 루벤스 (1613)
호칭성인
본명Ἰάκωβος (Iakōbos), ܝܥܩܘܒ ܒܪ ܚܠܦܝ (Yaqub Bar Halfi), יעקב בן חלפי (Ya'akov ben Halfai), ⲓⲁⲕⲱⲃⲟⲥ ⲛⲧⲉ ⲁⲗⲫⲉⲟⲥ (Iakōbos nte Alpheos), يعقوب بن حلفى (Ya'qūb bin Halfā), Ἰάκωβος ὁ μικρός (Iakōbos ho mikros)
출생1세기경
출생지갈릴리, 유대, 로마 제국
사망62년경
사망지예루살렘, 유대, 로마 제국 또는 아이귑투스, 로마 제국
기념일5월 1일 (성공회), 5월 3일 (로마 가톨릭교회), 10월 9일 (동방 정교회)
숭배 대상성인을 숭배하는 모든 기독교 교파
칭호사도 및 순교자
속성목수의 톱, 풀러의 클럽
수호약사, 약종상, 임종자, 이탈리아 프라스카티, 풀러, 밀리너, 이탈리아 몬테로톤도, 약사, 우루과이
관련된 성경 구절
성경 구절마태복음 10:3, 마가복음 3:18, 누가복음 6:12–16, 사도행전 1:13

2. 정체성

알패오와 마리아의 아들인 야고보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지만,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 그의 할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와 친척 관계였기에, 야고보 역시 예수와 혈연적으로 연결된 친척이었다.

신약성서에는 야고보에 대한 언급이 많지 않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깊어 매우 엄격하고 경건한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 고기와 술을 전혀 입에 대지 않았고, 외모를 꾸미지 않았으며, 긴 겉옷과 망토만 걸치고 맨발로 다녔다고 한다. 오랜 시간 무릎 꿇고 기도하여 그의 무릎은 낙타의 발바닥처럼 되었다고 하며, 유대인으로서 율법을 철저히 지켰다.

야고보는 어린 시절부터 예수와 가까이 지냈으며, 70인 제자 중 한 명으로 부름받았다. 성령 강림 이후에는 예루살렘 교회를 이끌며 초대 주교로 선출되어 교회를 다스리고 포교 활동에 힘썼다(사도행전 12:17, 21:17-18). 그는 미사의 여러 예식을 처음으로 제정하여 사용했으며, 이 예식서는 훗날 바실리우스와 요한 크리소스토모에 의해 간략하게 수정되었다.

사도행전 15장에 기록된 예루살렘 공의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대 출신 신자들이 이방인 신자들에게 할례를 강요하며 바울로, 바르나바 등과 논쟁이 벌어졌을 때(사도행전 15:1-2), 베드로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강조하자 야고보는 이를 지지하며 최종적으로 할례가 구원의 조건이 아님을 선언했다. 다만, 이방인 신자들에게 우상에게 바친 제물, 음행, 목 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 피 등을 멀리하라고 권고했다(사도행전 15:5-21).

또한 야고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여러 서한을 썼는데, 그중 하나가 신약성서의 야고보 서간으로 전해진다. 베드로가 기적적으로 감옥에서 풀려났을 때 이 사실을 알리라고 한 사람이 야고보였으며(사도행전 12:17), 바울로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처음으로 만난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 중 한 명도 야고보였다(갈라디아서 1:19, 사도행전 15:13-29).

전승에 따르면, 야고보는 그를 시기하던 바리사이 파 사람들에 의해 순교했다. 부활절 날, 바리사이 파는 야고보를 강제로 예루살렘 성전으로 끌고 가 배교를 강요했으나 그가 끝까지 거부하자, 성전 꼭대기에서 밀어 떨어뜨린 후 돌로 쳐서 살해했다고 전해진다.

2. 1. 작은 야고보와의 동일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성경에서 그의 어머니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작은 야고보'와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마가복음 15장 40절은 "작은 야고보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를, 마가복음 16장 1절과 마태오 복음서 27장 56절은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를 언급한다.

열두 사도 중에는 이미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가 있었기에, 그와 구분하기 위해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작은 야고보'로 부르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는 때때로 '큰 야고보'라고 불렸다.

제롬은 그의 저서 ''복된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에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작은 야고보와 동일시하며, 작은 야고보가 사도라면 알패오의 아들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작은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는 알패오의 아내이자 성모 마리아의 자매이며, 요한 복음사가가 "글로바의 마리아"라고 부른 인물이라고 설명했다.[5]

서기 약 70년에서 163년경에 활동한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역시 그의 저서 ''주님의 말씀 해설''의 현존하는 단편에서 알패오의 아내 마리아가 작은 야고보의 어머니라고 언급했다.[6]

이러한 교부들의 견해에 따라, 전통적으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작은 야고보와 동일 인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성서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동일시에 대해 의견이 나뉜다. 존 폴 메이어는 그것이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고,[7] 복음주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새 성경 사전''은 전통적인 동일시를 지지하지만,[8] 돈 카슨[9]과 대럴 복[10] 등은 그 동일시를 가능성은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고 본다.

러시아 블라디미르 정교회의 작은 야고보 성인 프레스코화 (12세기)


라테라노 대성전에 있는 안젤로 데 로시의 성 야고보 조각상

2. 2. 예수의 형제 야고보와의 동일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종종 성경에서 '작은 야고보'와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이는 마가복음 15장 40절에서 "작은 야고보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를 언급하고, 마가복음 16장 1절과 마태복음 27장 56절에서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를 언급하는 데서 비롯된다.[5] 이미 열두 사도 중에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가 있었으므로, 구분을 위해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작은 야고보'로 부르는 것은 자연스러웠다.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는 때때로 '큰 야고보'라고 불렸다.)

더 나아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예수의 형제 야고보와 동일시하는 견해도 있다. 제롬은 그의 저서 ''복된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에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작은 야고보와 동일시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 여러분은 성경에서 주님의 어머니 마리아가 아닌, 마리아의 아들이라고 불리는 비교적 덜 알려진 작은 야고보를 사도로 여기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만약 그가 사도라면, 그는 알패오의 아들이자 예수님을 믿는 자여야 한다... 유일한 결론은 작은 야고보의 어머니로 묘사된 마리아는 알패오의 아내이자 주님의 어머니 마리아의 자매였으며, 요한 복음사가 "글로바의 마리아"라고 부른다는 것이다.[5]

제롬은 또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주님의 형제 야고보'(갈라디아서 1:19)와 동일 인물로 보았다.[12][13] 그는 초대 교회의 일반적인 견해를 따라 마리아의 평생 동정 교리를 지지하면서,[11] 성경에서 언급된 예수의 '형제'는 실제 혈연 형제가 아닌 '사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12][13] 이러한 제롬의 견해, 즉 '예로니모적 견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오랫동안 널리 받아들여졌다.[14]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서기 약 70~163년) 역시 그의 저서 ''주님의 말씀 해설''의 단편에서 알패오의 아내 마리아가 작은 야고보의 어머니라고 언급했다.

: 작은 야고보와 요셉의 어머니인 마리아, 알패오의 아내는 주님의 어머니 마리아의 자매였으며, 요한은 그녀를 그녀의 아버지 또는 씨족의 가족 출신, 또는 다른 어떤 이유로 글로바의 마리아라고 부른다.[6]

파피아스의 또 다른 단편에서는 클레오파스와 알패오가 동일 인물이며, 그의 아내 마리아가 예수의 형제 야고보, 시몬, 유다(다대오), 그리고 한 요셉의 어머니라고 주장한다.

: (1) 주님의 어머니 마리아; (2) 클레오파스 또는 알패오의 아내 마리아, 야고보 주교이자 사도, 시몬, 다대오, 그리고 한 요셉의 어머니; (3) 살로메 마리아, 제베데의 아내, 복음사가 요한과 야고보의 어머니; (4) 막달라 마리아. 이 넷은 복음서에서 발견된다...''(단편 X)''[6]

이 주장에 따르면, 주님의 형제 야고보는 알패오의 아들이 된다. 그러나 성공회 신학자 조지프 라이트풋 등은 해당 단편이 후대에 추가된 위작일 가능성을 제기한다.[18][19]

한편, 로마의 히폴리토스의 저작으로 알려진 글(비록 위작 논란이 있지만)에서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예루살렘에서 설교하다 유대인들에게 돌에 맞아 죽었고 성전 옆에 묻혔다고 기록한다.[16] 예수의 형제 야고보 역시 같은 방식으로 순교했기 때문에, 이 기록은 두 야고보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해당 문헌들은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가짜 히폴리토스'''의 저작으로 간주된다.[17]

13세기에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가 편집한 성인전 모음집인 황금전설에서도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작은 야고보이자 주님의 형제 야고보와 동일 인물로 서술한다.

: 사도 야고보는 작은 자로 불리는데, 이는 그가 야고보 더 큰 자보다 나이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주님의 형제라고 불렸는데, 이는 그가 몸, 얼굴, 그리고 행동에서 주님과 매우 닮았기 때문이다. 그는 그의 지극히 큰 거룩함 때문에 의로운 야고보라고 불렸다. 그는 또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라고도 불렸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최초로 미사를 드렸고, 예루살렘의 첫 번째 주교였다.[20]

이처럼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동일 인물로 보는 견해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인 입장이지만,[14] 동방 가톨릭, 동방 정교회, 그리고 개신교에서는 일반적으로 두 인물을 구별한다. 19세기 학자 존 커닝햄 가이키는 아돌프 하우스라트, 프란츠 델리치, 다니엘 쉔켈 등이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클로파스-알패오의 아들로 보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5]

현대의 성경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뉜다. 존 폴 메이어는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낮다고 보며,[7] 복음주의 학계 내에서도 ''새 성경 사전''은 전통적인 동일시를 지지하는 반면,[8] 돈 카슨[9]과 대럴 복[10] 등은 가능성은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고 평가한다.

2. 3. 마태오와의 형제 관계 가능성

알패오는 마가복음 2장 14절에 언급된 세리 레위의 아버지 이름이기도 하다. 세리 레위는 마태복음 9장 9절에서 마태오와 동일 인물로 나오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마태오가 형제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21][22] 하지만 성경에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직접 언급되는 네 번의 경우(모두 사도 명단)에는 그의 아버지가 알패오라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다.[23] 반면, 다른 사도인 야고보요한의 경우, 사도 명단 두 곳에서 그들이 형제이며 아버지가 제베대오라고 명확히 언급된다.[24]

3. 복음서 기록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복음서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신약성서, 특히 복음서에서는 그가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라는 사실 외에 구체적인 행적에 대한 언급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3. 1. 마가복음

마르코 복음서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성경 자료이다. 마르코 복음서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를 단 한 번, 열두 사도의 목록에서 언급한다 (마가 3:16–19).

예수가 공생애를 시작할 때, 그는 먼저 베드로와 그의 형제 안드레아를 불러 따르게 한다 (마가 1:16–17). 이후 야고보(세베대의 아들)와 그의 형제 요한이 예수를 따르게 된다 (마가 1:19–20). 예수가 몇몇을 치유한 후, 그는 세리였던 알패오의 아들 레위(마태로 더 잘 알려짐)를 만나 자신을 따르라고 요청한다 (마가 2:14 및 마태 9:9).

사도 목록에는 베드로, 안드레아, 야고보(세베대의 아들), 요한이 포함된다 (마가 3:16–19). 알패오의 아들 레위는 마태라는 이름으로 사도 목록에 오르고, 야고보는 혼자 "알패오의 아들"로 명시되어 목록에 포함된다 (마가 3:16–19).

전반적으로 마가는 세 명의 다른 야고보를 언급한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큰 야고보(세베대의 아들), 그리고 예수의 형제 야고보 (마가 6:3). 하지만 세 번의 다른 경우, 마가는 어떤 야고보를 지칭하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고 야고보에 대해 쓴다. 변모 사건에 야고보가 있고 (마가 9:2), 감람산에도 있으며 (마가 13:3), 겟세마네 동산에도 있다 (마가 14:33). 이 야고보가 사도 요한과 함께 언급되었지만, 두 사도가 비슷한 장소에 함께 있을 때조차 어떤 야고보를 지칭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열두 사도 모두가 최후의 만찬에 참석하며 (마가 14:33), 이는 바로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사건으로 이어진다. 또한 마가복음에는 '작은 야고보'와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마가 15:40), 이미 예수의 형제 야고보에게 요셉이라는 형제가 있다고 언급된 바 있다 (마가 6:3). 이는 '작은 야고보'가 예수의 형제 야고보일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의 관계나 동일 인물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3. 2. 마태복음

마태오 복음서에는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언급된다(마태오 10:3). 이는 베드로, 안드레아, 야고보, 요한 등이 예수를 따르라는 부름을 받은 것(마태오 4:18–22)과 같이 사도로서 부름받은 맥락에서 등장한다.

마태오 복음서에는 총 세 명의 야고보가 등장한다.

예수의 변모 사건에서는 요한의 형제 야고보가 명시되어 있으며(마태오 17:1), 겟세마네 동산에서는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임이 명확히 드러난다(마태오 26:37). 따라서 이 두 사건에 등장하는 야고보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아니다. 올리브 산에서의 장면에서는 특정 야고보가 아닌 제자들만 언급된다(마태오 24:3). 예수의 십자가형 현장에는 '야고보와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가 등장하는데, 이때의 야고보에게는 '작은'이라는 수식어가 붙지 않았다(마태오 27:56).

한편, 마태오 복음서의 저자로 여겨지는 마태오는 세리였으며 예수의 부름을 받았다(마태오 9:9–13).[25]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그를 '알패오의 아들 레위'라고 부르지만(마르코 2:14), 마태오 복음서 자체에서는 마태오를 알패오의 아들이라고 직접 언급하지 않는다.[26]

4. 행적 및 전승

야고보는 알패오와 마리아의 아들로,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이다. 그의 할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와 친척 관계였기 때문에, 야고보 역시 예수와 혈연적으로 친척 관계에 해당한다.[32][33] (다만, 성경에서 '예수의 형제'로 불리는 야고보는 예수의 실제 동생이자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였던 다른 인물이다.)

신약성서에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어려서부터 신앙심이 깊어 매우 엄격하고 경건한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 고기와 술을 전혀 입에 대지 않았고, 외모를 꾸미지 않았으며, 긴 겉옷과 망토만 걸치고 맨발로 다녔다고 한다. 또한 오랜 시간 기도에 힘써 그의 무릎은 낙타의 발바닥처럼 단단해졌다고 하며, 유대교의 율법도 충실히 지켰다.

야고보는 어린 시절부터 예수와 가깝게 지냈으며, 예수가 파견한 70인 제자 중 한 사람이었다. 성령 강림 이후에는 예루살렘 교회를 맡아 예루살렘의 첫 번째 주교로 선출되어 교회를 이끌며 활발히 포교 활동을 펼쳤다(사도행전 12:17, 21:17-18). 그는 처음으로 미사(성찬례)의 여러 예식을 제정하여 사용했으며, 이 예식서는 훗날 바실리오와 요한 크리소스톰에 의해 간략하게 수정되었다고 전해진다.

사도행전 15장에는 예루살렘 공의회에서의 그의 역할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유대로부터 내려온 어떤 사람들이 다른 지역의 형제들에게 모세의 관례대로 할례를 받지 않으면 구원을 받지 못한다고 하여 바울과 바나바와 그 사람들 사이에 분쟁과 논쟁이 일어났다"(사도행전 15:1-2). 이 문제에 대해 베드로는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원과 거듭남으로 인하여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은 구원을 받으며 할례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주장하며 할례 없이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회의를 주재하던 야고보는 베드로의 의견을 지지하며, 이방인 신자들에게는 "다만 우상에게 바친 부정한 것과 음행과 목졸라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라"고 권고하는 최종 결정을 내렸다(사도행전 15:5-21).

또한 그는 여러 서한을 작성했다고 전해지는데, 그중 하나가 신약성서의 야고보 서간으로 알려져 있다. 베드로가 기적적으로 감옥에서 풀려났을 때 자신의 소식을 전하라고 한 사람이 야고보였으며(사도행전 12:17), 바울로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예루살렘에서 처음 만난 사도 중 한 명도 야고보였다(사도행전 15:13-29).

전승에 따르면, 야고보는 그를 시기하고 경계하던 바리사이 파 사람들에 의해 순교했다. 부활절 날, 바리사이 파 사람들은 야고보를 강제로 예루살렘 성전으로 끌고 가 배교할 것을 강요했다. 야고보가 끝까지 신앙을 지키자, 그들은 야고보를 성전 꼭대기에서 밀어 떨어뜨린 후 돌로 쳐서 살해했다고 전해진다.

5. 순교

전승에 따르면, 야고보는 그를 시기하고 경계하던 바리사이 파에 의해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바리사이 파는 부활절 날 야고보를 강제로 끌어내어 예루살렘 성전에 끌고 가 각종 감언이설을 늘어놓으며 배교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러나 야고보가 끝까지 배교를 거부하며 버티자 화가 난 바리사이 파는 즉시 그를 성전 꼭대기에서 떠밀려 떨어뜨린 다음 일제히 돌로 쳤기 때문에 야고보는 그 자리에서 순교했다고 한다.

한편, 사도행전 12장 1-2절에는 야고보가 헤로데 아그리파 왕에 의해 처형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해당 구절에 언급된 야고보는 요한이라는 형제가 있는데, 이는 제베데오의 아들 야고보에게 해당하며(마태오 복음서 4장 21절),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에게 형제가 있다는 언급은 성경에 없다. 로버트 아이젠먼[27]과 아킬레 카메를링크[28] 등은 사도행전 12장 1-2절의 야고보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아닌 제베데오의 아들 야고보라고 주장한다.

기독교 미술에서 작은 야고보는 풀러의 곤봉을 들고 묘사되기도 한다.[29]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그는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하 이집트의 오스트라키네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고도 한다.[30]

6. 죽음

야고보의 죽음에 관해서는 여러 전승과 기록이 존재한다.

한 전승에 따르면, 야고보는 그를 시기하고 경계하던 바리사이 파에 의해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바리사이 파는 부활절 날 야고보를 강제로 끌어내어 예루살렘 성전에 끌고 가 배교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러나 야고보가 끝까지 이를 거부하자, 바리사이 파는 그를 성전 꼭대기에서 밀어 떨어뜨린 후 돌로 쳐 죽였다고 한다.

다른 기록으로는 사도행전 12장 1-2절에 근거하여, 야고보가 다른 기독교인들과 함께 체포되어 교회 박해 당시 헤로데 아그리파 왕에 의해 처형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해당 구절에 언급된 야고보는 요한이라는 형제가 있는데, 이는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에게 해당하며 (마태오 복음서 4장 21절)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에게는 형제가 있다는 기록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로버트 아이젠먼[27]과 아킬레 카메를링크[28] 등은 사도행전 12장 1-2절의 야고보가 알패오의 아들이 아닌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야고보는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하 이집트의 오스트라키네로 갔다가 그곳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고 한다.[30]

기독교 미술에서는 야고보를 풀러의 곤봉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기도 한다.[29] 이는 그의 순교 방식 중 하나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Catholic Forum Patron Saints Index: James the Lesser http://www.catholic-[...] 2007-06-25
[2] 웹사이트 Bible reverse engineering https://bible-tools.[...] 2020-09-09
[3] encyclopedia Saint-James. Apostle, son of Alphaeu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4] Bibleref Matthew 10:3, Mark 3:18, Luke 6:12–16 and Acts 1:13
[5] 서적 The Perpetual Virginity of Blessed Mary Fragment 15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5-09-03
[6] 서적 Exposition of the Sayings of the Lord. Fragment X http://www.earlychri[...] earlychristianwritings.com 2015-09-10
[7] 문서 John Paul Meier, ''A Marginal Jew volume 3'', p. 201. "There are no grounds for identifying James of Alphaeus – as church tradition has done – with James the Less."
[8] 문서 New Bible Dictionary, 2nd Edition (IVP 1982), "James" entry (by P.H.Davids)
[9] 문서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CDROM, commentary on Matthew (by Don Carson), commentary on Matthew 10:2–4
[10] 문서 ''Luke'', by Darrell Bock (Baker 1994), commentary on Luke 6:15
[11] Citation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John Saward – ''Cradle of redeeming love: the theology of the Christmas mystery'' p18 2002 "St Jerome concludes that St James, son of Alphaeus, and St James, brother of the Lord, are one and the same person.169 But why is James, son of Alphaeus, called our Lord's 'brother'? St Jerome's answer is as follows. In Matthew 13:55 we hear of four 'brothers' of our Lord: James and Joseph, Simon and Jude. Later, in the Passion narrative, St Matthew mentions a Mary who is the mother of James and Joseph (cf Mt 27:56) "
[13] 문서 ''The brother of Jesus: James the Just and his mission'' p17 Bruce Chilton, Jacob Neusner – 2001 "Given that James has been identified as the son of Alphaeus, Jerome indicates he cannot explain the connection of Mary the ... Chrysostom (347–407) was first to suggest that James the brother of the Lord is the son of Clopas though ..."
[1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James the Less http://www.newadvent[...]
[15] 문서 "[[John Cunningham Geikie]] ''The life and words of Christ'' Volume 1 1884 Alphaeus, or Alpheus __, and Clopas are different ways of pronouncing in Greek the Hebrew name ___ (Chal'phai) ... [[Adolf Hausrath|Hausrath]], [[Franz Delitzsch|Delitzsch]], and [[Daniel Schenkel|Schenkel]], think James the Just was the son of Clophas-Alphaeus."
[16] 서적 "On the Twelve Apostles" and "On the Seventy Disciples"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5-09-10
[17] 문서 Ante-Nicean Fathers, ed. Alexander Roberts, James Donaldson and A. Cleaveland Coxe, vol. 5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1999), 254–6
[18] 웹사이트 The Brethren of the Lord by J.B. Lightfoot http://philologos.or[...] 2015-12-05
[19] 웹사이트 Papias of Hierapolis. http://www.textexcav[...]
[20] 서적 Golden Legend: Life of Saint James the Less http://www.christian[...] 2018-10-29
[21] 문서 John MacArthur, Jr., ''Daily Readings from The Life of Christ'', page 50 ([[Moody Publishers]], 2009).
[22] 문서 Warren W. Wiersbe, ''The Wiersbe Bible Commentary: The Complete New Testament'', page 848 ([[David C. Cook]], 2007).
[23] Bibleref Matthew 10:2–3, Mark 3:16–19, Luke 6:11–16 and Acts 1:13
[24] Bibleref Matthew 10:2–3, Mark 3:16–19
[25] 문서 The Good News Bible Revised Edition 1994 indicate that Mark 2:13–17 and Matthew 9:9–13 are the same story
[26] 문서 The Good News Bible Revised Edition 1994
[27] 문서 "James brother of Jesus" Robert Eisenman
[2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James the Greater http://www.newadvent[...]
[29] 문서 Hilarie Cornwell, James Cornwell, ''Saints, Signs, and Symbols'', page 49 (Morehouse Publishing, 2009).
[30] 문서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Apostolic Church: with a General Introduction to Church History'', page 389 (New York: Charles Scribner, 1853). Citing [[Nikephoros Kallistos Xanthopoulos|Nikephoros]], ''Historia Ecclesiastica'' II:40.
[31] 웹사이트 ИАКОВ АЛФЕЕВ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3-10-02
[32] 문서 마태복음 13장 55절
[33] 문서 갈라디아서 1장 19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